본문 바로가기
김치,장아찌

아작아작 충무김밥 무김치 만드는 법, 톡 쏘는 시원한 무김치 양념 레시피. 섞박지(석박지) 담그기, 도시락 메뉴

by 뻔와이프 2025. 4. 4.
반응형

무김치, 오징어무침, 어묵 무침 완전체로 만들어서 충무김밥을 즐겨봤는데요.

먼저 무김치 만드는 법 올리겠습니다.

이 무김치에 생김에 밥 싸서 간편하게 즐겨도 되고 국밥에 섞박지처럼 즐겨도 맛있어요.

충무김밥이 아니더래도 이 무김치 넉넉하게 만들어 보세요.

아직 무가 달고 단단해서 섞박지 담기 딱 좋거든요.

하루 실온 숙성 시켜서 먹으면 사이다처럼 쨍하게 시원한 맛과 아작아작한 식감이 봄철 입맛 돋우기 딱 좋은 김치가 됩니다.

여러 가지 속 재료 들어가는 김밥이 성가시다면 간편하게 충무김밥을 도시락 메뉴로 만들어도 좋겠죠?^^

1. 재료 준비

 

충무김밥 무김치 레시피

재료

무 900g

설탕 4큰술

식초 4큰술

소금 1+1/2큰술

양념

고춧가루 2큰술

다진 마늘 1큰술

까나리(=멸치)액젓 2큰술

설탕 1큰술

통깨

■ 1 큰 술⇒ 15ml(어른 밥숟가락으로 듬뿍)

■ 1 작은 술⇒ 5ml(티스푼으로 듬뿍)

■ 1 컵 ⇒ 200ml (커피자판기 종이컵)

중간 크기의 무 반개(900g)입니다.

2. 무 썰기

연필 깎듯이 무를 돌려 가면서 섞박지 모양이 나도록 썰어 줍니다.

3. 무 절이기

 
 
볼에 무를 담고 소금 1+1/2큰술, 설탕 4큰술, 식초 4큰술 넣고 고루 섞어 줍니다.

1시간 이상 절여 주면서 중간에 한번 뒤집어 줍니다.

 
 
 

무에서 나온 수분은 그대로 버리고 씻지 않고 체에 밭쳐서 물기 대충 빠지도록 합니다.

완벽하게 물기 안 빼도 됩니다.

양념 해야 하니까 무가 짜면 안되니 짜다 싶으면 물에 한두 번 헹궈 주면 됩니다.

4. 양념에 무치기

 
 

볼에 무와 양념 재료(고춧가루 2큰술, 다진 마늘 1큰술, 까나리 액젓 2큰술, 설탕 1큰술, 통깨) 넣어서 고루 섞어서 주면 됩니다.

저는 양념에 바로 무쳤는데 고춧가루 색을 먼저 낸 다음 나머지 양념 넣고 무치면 색이 더 고와져요.

맛을 보고 싱거우면 소금으로 맞추고 당도는 기호에 따라 추가하고 마무리 합니다.

5. 완성

양념이 고루 어우러지도록 몇 시간 후에 드셔도 되고 하루 숙성 시켜서 냉장고에 뒀다 맛보면 정신이 번쩍 드는 상큼함이 느껴질 겁니다.^^

무김치에서 나오는 국물도 시원하고 맛있으니까 버리지 말고 김치찌개나 비빔국수 양념에 사용하시면 됩니다.

반응형

댓글